진천군·음성군 농어촌버스/소이면

덤프버전 : (♥ 0)

||


1. 개요
2. 노선
2.1. 음성 - 돌뫼. 후미. 문등
2.2. 음성 - 갑산. 설피. 문등
2.3. 음성 - 구안(충도리 순환)
2.4. 음성 - 금고리
2.5. 음성 - 목도. 괴산
2.6. 122번(충주)



1. 개요[편집]


음성터미널을 출발해서 소이면 방면으로 가는 노선에 대해 서술한다.


2. 노선[편집]


비산리를 경유해서 돌뫼. 후미. 문등으로 가는 노선과 금고리를 경유해서 갑산. 설피. 문등으로 가는 노선으로 나눌 수 있다.


2.1. 음성 - 돌뫼. 후미. 문등[편집]


진천군/음성군 농어촌버스 음성 - 돌뫼. 후미. 문등
기점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(음성터미널)종점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후미리(후미)
종점행첫차06:50기점행첫차07:10
막차19:40막차20:00
운수사명진천여객
음성교통
배차간격1일 9회
노선음성공용터미널 - 음성군청 - 한벌리 - 비산1.2리 - (비산3리 - 돌뫼) - 대장2리 - 현대중공업 - 구.대장초교 - 소이면사무소 - (후미1리 - 후미) (새터) - 장구실 - 문등1.2리 - 웅동삼거리(문등)

진천군/음성군 농어촌버스 음성 - 돌뫼
기점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(음성터미널)종점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비산리(돌뫼)
종점행첫차07:30기점행첫차07:40
막차07:30막차07:40
운수사명진천여객
음성교통
배차간격1일 1회
노선음성공용터미널 - 음성군청 - 한벌리 - 비산1.2리 - (대장2리 ← 현대중공업 ← 구.대장초교 ← 현대중공업 ← 대장2리) - 비산3리 - 돌뫼

음성군청 앞을 지나 비산리 방면으로 향한다. 시간대에 따라 돌뫼, 후미, 문등 중에서 종점이 나뉘며 10회 중 후미에 9회, 돌뫼에 7회, 문등에 4회 들어간다.

문등으로 갈 때, 후미에 들어가지 않으면 새터를 경유한다. 문등으로 가는 노선은 이 노선 외에도 음성 - 설피 노선이 4회 더 운행한다.

1일 1회 돌뫼에서 회차하는 첫차는 돌뫼를 경유한 뒤 구.대장초교까지 와서 차를 돌린다. 또한, 학기 중 평일에는 음성으로 가면서 음성군청 대신 음성여중을 경유한다.

음성 - 돌뫼. 후미. 문등 통합 시간표
횟수음성돌뫼후미문등번호
106:5007:10800
207:3007:40[1]801
308:2008:5008:40802
409:4010:2010:1010:00804
510:5011:2011:10802
612:3012:4012:5013:00805
714:4014:5015:0015:10805
816:2016:4016:50806
918:0018:1018:20803
1019:4020:00800

2.2. 음성 - 갑산. 설피. 문등[편집]


진천군/음성군 농어촌버스 음성 - 설피. 문등(설피. 중동4리)
기점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(음성터미널)종점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중동리(설피)
종점행첫차07:10기점행첫차07:35
막차19:30막차19:50
운수사명진천여객
음성교통
배차간격1일 4회
노선음성공용터미널 - 수정교(장호상가) - 음성여중 - 음성역 - 평곡4리 - 석인1리 - 금고2리 - (금고리) - 신성골 - 소이초 - 봉전2리 - 봉전1리 - 갑산리 - 정주안 - 탑촌(갑산) - 정주안 - 갑산리 - 봉전1리 - 한내 → 중동2리 → 설피 → 중동3리(상촌) → 중동4리(갈마절) → 현동 → 웅동삼거리(문등) 문등2.1리 → 한내 - 봉전2리 - 이하역순

진천군/음성군 농어촌버스 음성 - 설피(중동4리. 설피)
기점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(음성터미널)종점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중동리(설피)
종점행첫차07:10기점행첫차07:35
막차19:30막차19:50
운수사명진천여객
음성교통
배차간격1일 5회
노선음성공용터미널 - 수정교(장호상가) - 음성여중 - 음성역 - 평곡4리 - 석인1리 - 금고2리 - (금고리) - 신성골 - (구.대장초교 - 소이면사무소) - 소이초 - (봉전) - 봉전2리 - 봉전1리 - 갑산리 - (갑산2리) - 정주안 - 탑촌(갑산) - 정주안 - 갑산리 - 봉전1리 - 한내 → 중동4리 → 중동4리(갈마절) → 중동3리(상촌) → 설피 → 중동2리 → 한내 - 봉전2리 - 이하역순

금고리를 경유하여 갑산, 중동리 일대로 향한다. 9회 모두 왕복으로 한내를 지나가고 갑산→설피 순으로 운행하며, 4회는 문등으로 향한다.

문등으로 가는 노선은 4회 모두 갑산→설피→중동4리→문등→한내로 순환한다. 반면에 문등으로 가지 않는 노선은 5회 모두 갑산→중동4리→설피→한내 순으로 순환한다. 즉, 문등을 경유하냐에 따라 순환 방향이 바뀐다.

시간대에 따라 금고리와 갑산2리, 봉전리 내부, 소이면사무소를 경유한다. 금고리를 제외하면 모두 중동4리→설피 노선이 경유한다.

포털 사이트에 적용되지 않았지만 최근에는 일부 시간대에 평곡2리(토계울)를 편도 혹은 왕복으로 경유한다고 한다.

음성 - 갑산. 설피. 문등 통합 시간표
횟수음성갑산설피경유지번호
107:1007:2507:35
중동4리
문등 07:40
금고리
812
208:0008:1508:30
중동4리
문등 08:40813
309:40봉전리
갑산2리
09:55
중동4리
10:10
소이면사무소811
411:40갑산2리
11:55
중동4리
12:10
811
514:00금고리
갑산2리
14:15
중동4리
14:30
815
615:10봉전리
15:25
중동4리
15:40
816
717:00갑산2리
17:15
중동4리
17:30
817
818:20금고리
18:35
18:40
중동4리
문등 18:50814
919:3019:4519:50
중동4리
문등 20:00813

2.3. 음성 - 구안(충도리 순환)[편집]


진천군/음성군 농어촌버스 음성 - 충도. 구안
기점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(음성터미널)종점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구안리(구안)
종점행첫차07:20기점행첫차07:40
막차19:30막차19:50
운수사명진천여객
음성교통
배차간격1일 7회
노선음성공용터미널 → 수정교(장호상가) → 음성여중 → 음성역 → 평곡4리 → 석인1리 → 충도1.2리 → 충도3리(충도보건소) → 충도4리 → 큰말(구안) → 구안리 → 하노3.2리 → 금광포란재 → 음성보건소 → 음성공용터미널

음성 - 갑산. 설피 노선처럼 음성역. 평곡리 쪽으로 가다가 충도삼거리에서 우회전하여 충도리 안길을 지난다. 7회 모두 충도→구안 순으로 순환하며, 구안리로 내려올 때는 구안리 회관(큰말) 앞을 지나간다.

구안리 쪽으로는 음성 - 괴산(소수) 노선도 10회 지나간다.

한 쪽 방향으로만 순환하는 노선이라 음성에서 구안리를 가기 위해 이 노선을 탄다면 음성 - 괴산 노선에 비해 소요시간이 더 걸릴 수 있으니 주의.

음성 - 충도. 구안 시간표
횟수음성구안번호
107:2007:40830
209:0009:20830
311:0011:20830
413:0013:20830
514:5015:10830
617:2017:40830
719:3019:50830

2.4. 음성 - 금고리[편집]


진천군/음성군 농어촌버스 음성 - 금고리
기점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(음성터미널)종점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금고리(금고리)
종점행첫차14:00기점행첫차07:55
막차18:20막차07:55
운수사명진천여객
음성교통
배차간격1일 2.5회
노선음성공용터미널 - 수정교(장호상가) - 음성여중 - 음성역 - 평곡4리 - 석인1리 - 금고2리 - 금고리

음성에서 출발해서 금고리 내부까지 들어가는 노선. 갑산. 설피 노선이 설피 방면으로 3회, 음성 방면으로 1회 경유한다.

음성 - 금고리 시간표
횟수음성금고리번호
1문등 07:45→07:55812
214:00→갑산815
315:10→갑산816
418:20→갑산814

2.5. 음성 - 목도. 괴산[편집]


파일:증평 버스 음성-목도.jpg

진천군/음성군 농어촌버스 음성 - 목도. 괴산
기점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(음성터미널)종점충청북도 괴산군 불정면 목도리(목도)
충청북도 괴산군 괴산읍 동부리(괴산터미널)
종점행첫차06:50기점행첫차07:25
막차19:40막차20:00
운수사명아성교통배차간격1일 12.5회
노선음성공용터미널 - 수정교(장호상가) - 음성여중 - 음성역 - 평곡4리 - 석인1리 - 금고2리 - 신성골 - 소이초 - 봉전2리 - 한내 - (외령 - 하산) (막의 - 고현) - 목도 (- 대상동 - 감물정류소 - 구무정 - 검승 - 괴산시내버스터미널)

음성 - 괴산 노선은 소수면을 경유하는 노선과 소이면을 지나 목도로 향하는 해당 노선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.

소이면을 경유하는 해당 노선은 다시 외령 경유와 고현 경유, 직통 세 노선으로 나눌 수 있는데 한내까지는 모든 노선이 겹치고 시간대에 따라 괴산읍내까지 가기도 한다.

자세한 노선 및 시간표는 괴산군청 홈페이지 참고.

음성 - 목도. 괴산 시간표
횟수음성경유지번호목도경유지번호
106:50사근내. 막의
고현. 목도
651괴산 07:00
07:25
106-1
208:00목도. 괴산601-108:40506
309:15목도. 괴산601-1괴산 09:00
09:25
106-1
410:10목도. 괴산601-109:45하산. 외령506
510:50외령. 하산. 목도60511:30고현. 막의506
613:00목도. 괴산601-1괴산 12:00
12:25
106-1
713:30막의. 고현. 목도60514:00고현. 막의506
814:30외령. 하산. 목도605괴산 14:00
14:25
106-1
915:00목도. 괴산601-1괴산 16:30
16:55
106-1
1016:40막의. 고현. 목도60517:10하산. 외령506
1117:30목도. 괴산601-1괴산 18:40
19:05
106-1
1218:00외령. 하산. 목도60520:00506
1319:40목도. 괴산601-1

2.6. 122번(충주)[편집]


문서 참조. 한내에서 회차해서 비산리와 돌뫼 입구를 지나 충주로 향한다.


파일:CC-white.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진천군·음성군 농어촌버스 문서의 r315에서 가져왔습니다. 이전 역사 보러 가기
파일:CC-white.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.
[ 펼치기 · 접기 ]
진천군·음성군 농어촌버스 문서의 r315 (이전 역사)
문서의 r (이전 역사)
문서의 r (이전 역사)
문서의 r (이전 역사)
문서의 r (이전 역사)
문서의 r (이전 역사)
문서의 r (이전 역사)
문서의 r (이전 역사)
문서의 r (이전 역사)




파일:CC-white.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괴산군·증평군 농어촌버스 문서의 r220에서 가져왔습니다. 이전 역사 보러 가기
파일:CC-white.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.
[ 펼치기 · 접기 ]
괴산군·증평군 농어촌버스 문서의 r220 (이전 역사)
문서의 r (이전 역사)
문서의 r (이전 역사)
문서의 r (이전 역사)
문서의 r (이전 역사)
문서의 r (이전 역사)
문서의 r (이전 역사)
문서의 r (이전 역사)
문서의 r (이전 역사)



파일:CC-white.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-12-18 03:05:28에 나무위키 진천군·음성군 농어촌버스/소이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.


[1] 음성으로 올 때 구.대장초교, 음성여중(학기 중 평일만) 경유